[정책의속살] 코로나19 사태로 국제유가 반토막…석유비축 안하나 못하나
컨텐츠 정보
- 1,900 조회
- 2 댓글
- 7 추천
- 목록
본문
'코로나19' 사태에 사우디-러시아간 '유가전쟁'까지 겹치면서 국제유가가 반토막이 났다. 배럴당 20달러대로 접어들면서 사상 초저유가 시대를 맞고 있는 것.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석유 비축량을 대폭 확대할 수 있는 둘도 없는 기회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비축량을 크게 늘릴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와 석유공사가 석유비축량을 확대할 수 없는 속사정은 무엇일까.
◆ 석유비축기지 포화 '무용지물'…비축기지 늘려 저유가 때 활용해야
지난 20일 기준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12.44%(2.79달러) 떨어진 22.4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영국 브렌트유도 전날보다 5.52%(1.49달러) 빠진 26.89달러로 거래 마감했다. 반면 두바이유는 전날보다 11.03%(2.85달러) 오른 28.67달러로 거래됐다.
국제유가가 급락한 상황에서 국내 비축량을 확대하는게 바람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 1월 원유수입량은 전년동월대비 소폭 늘어나는데 그쳤다. 코로나19 여파가 본격화된 2월의 경우 아직 통계가 나오지 않았지만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다만 지역별 수입량은 차이를 보였다. 러시아와 카타르, 아랍에미리트가 전년동기대비 각각 31.95%, 10.54%, 28.91% 증가한 반면, 이라크(-28%), 쿠웨이트(-30.79%) 등은 감소했다.
저유가 상황에서 비축물량을 늘리는 것은 상식이지만 정부가 적극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사상 초저유가 시대가 도래했지만 석유비축기지에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와 같은 초저유가 시대가 올 것이라고는 미처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비축계획을 수립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유가 때 비축물량을 적극 확대하기 위해서는 석유비축기지를 보다 늘릴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 평소 댐의 수위를 조절해 여유를 두는 것과 같은 이치다. 하지만 석유비축비기를 증설하려면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린다. 그나마 지난해 세운 비축계획에는 증설 계획이 포함되지 않아 올해 예산에는 반영이 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석유공사 등 유관기관과 함께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지난 9일과 11일, 17일 세 차례에 걸쳐 국제유가 대응반 회의를 열고 저유가에 따른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일시적 현상일 수도 있다는 판단에 지금까지 특별 대응반이나 대응조직을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 아니다"면서 "특별 대응반 운영계획은 아직까지 없지만 적절한 시점이 되면 검토해 볼 것"이라고 전했다.
◆ 저유가 장기화되면 해외유전 M&A 나서야
현재와 같은 저유가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해외유전에 대한 인수합병(M&A)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저유가로 채산성이 악화된 유전들이 매물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주도해야 할 석유공사는 이명박정부 시절 해외자원개발 후유증으로 재무상태가 악화되어 여력이 없는 실정이다. 해외유전 M&A는커녕 경영정상화를 위해서는 보유하고 있는 자산도 매각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저유가 시대를 기회로 활용하려면 정부와 정치권이 이번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명박정부 시절과 지금은 상황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당시에 지불했던 '비싼 수업료'를 보상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게 업계 안팎의 인식이다.
정유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장기간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유전확보라든가 신규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면서 "해외 유전개발이나 M&A를 추진하는데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 저유가 상황이 얼마나 지속될 지 아직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국책연구기관인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국제유가 대응반을 구성해 국제유가 및 정세 등 관련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있는 수준이다.
중장기적인 석유비축 계획보다는 당장의 '발등의 불'을 끄는데 급급한 모습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기침체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저유가는 단기적으로 한국경제에 호재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이어져 수출기반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국제유가 하락이나 급등에 대해서는 국가적인 대응이 필요하기에 민관이 체계적으로 움직이는 네트워크 형성이 중요하다"면서 "현재 정부도 에너지 공기업, 정유업계 등과 네트워킹을 갖춰놓고 실시간 정보 공유 등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